백준문제
-
Python. 나머지(10430번)백준문제/Python 2020. 3. 16. 15:02
나머지를 구하기 위해선 % 연산자를 쓰면된다. % 연산자 : 나머지를 구함. split() 함수를 통해서 공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3개의 변수를 입력받는다. split() : 공백을 기준으로 분류하기 # 소스코드 a,b,c=input().split() A=int(a) B=int(b) C=int(c) print((A + B) % C) print( (A % C + B % C) % C) print((A*B) % C) print((A % C * B % C) % C) # 결과 간단한 문제였습니다ㅎㅎ
-
C언어. 나머지(10430번)백준문제/C언어 2020. 3. 16. 14:46
나머지를 구하기 위해선 % 연산자를 쓰면된다. % 연산자 : 나머지를 구함. 백준에서 scanf_s 로하면 컴파일 에러가 날 것이다!! scanf 로 고쳐야 성공!! # 소스코드 #include int main() { int A, B, C; scanf_s("%d %d %d", &A, &B, &C); printf("%d\n", (A + B) % C); printf("%d\n", (A % C + B % C) % C); printf("%d\n", (A*B) % C); printf("%d", (A % C * B % C) % C); } # 결과 간단한 문제입니돠!
-
Python. 사칙연산(10869번)백준문제/Python 2020. 3. 16. 02:12
앞에서 연습한 것을 한번에 써보는 문제! 그대신 소수점자리가 나오지 않게 몫만을 출력해야하므로 / 연산자 : 소수점까지 출력해주는 나눗셈 연산자 // 연산자 : 몫만 출력해주는 나눗셈 연산자 // 연산자를 사용한다! 두개의 변수를 입력받을려면 split() 함수를 사용하면된다!! split() : 공백을 기준으로 분류하기 # 소스코드 a,b=input().split() A=int(a) B=int(b) print(A+B) print(A-B) print(A*B) print(A//B) print(A%B) # 결과 몫이 필요한지 소수점이 필요한지 생각하여 연산자를 알맞게 쓰자!
-
C언어. 사칙연산(10869번)백준문제/C언어 2020. 3. 16. 01:41
앞에서 연습한 것을 한번에 써보는 문제! ( 소수점자리를 따로 언급한 부분이 없어서 정수형으로 변수를 선언한다. ) 백준에서 scanf_s 로하면 컴파일 에러가 날 것이다!! scanf 로 고쳐야 성공!! # 소스코드 #include int main() { int A, B; scanf_s("%d %d", &A, &B); printf("%d\n",A+B); printf("%d\n",A-B); printf("%d\n",A*B); printf("%d\n", A / B); printf("%d", A % B); } # 결과 자꾸 scanf_s에서 컴파일 에러나는것땜에 수정을 해야하는게 넘 귀찮다... 백준은 왜 scanf 만 좋아해..?
-
Python. A/B(1008번)백준문제/Python 2020. 3. 15. 07:50
파이썬에선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서 float 형을 사용한다. float(8byte) : 부동 소수점 형식을 나타냄. ( C언어랑 다르게 소수점 자리를 따로 언급하지 않아도 8바이트 크기만큼 나옴 ) 두 수를 입력받기 위해선 split()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!! split() : 공백을 기준으로 분류하기 # 소스코드 a,b=input().split() A=float(a) B=float(b) print(A/B) # 결과 역시 파이썬이 간단하구만!!